티스토리 뷰
우리말은 대한민국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어렵게 느껴지는 건 없지만 약간 알쏭달쏭한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. 되 돼 구분이 그렇고 삼가다 삼가하다 그리고 안이나 않 여러가지 알쏭달쏭한 우리말이 많습니다.
그래서 이말을 써야할때 '이게 맞나?"라고 고민해보고 조심스럽게 써보신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 같은데요. 뭐 '뭐어때'라고 그냥 틀려도 쓰시는 분들도 계시는데요. 안좋게 보는 사람도 많을 수 있죠. 그러니 알쏭달쏭한 한글은 알아두는게 좋습니다. 그래서 오늘은 되 돼 구분에 대한 내용으로 포스팅을 해보려고하는데요. 많이 실수를 하시는 부분이기도 합니다.
일단 되다라는 말은 있지만 돼다라는 말은 없습니다. 즉 사전에 없다는 말이죠. 왜냐?
돼는 '되어'의 준말이기 때문입니다.
'내가 가장이 되었다' = '내가 가장이 됐다' 둘다 맞는 말입니다.
그리고 되라는 말이 있고 돼라는 말은 없다고 말씀을 드렸는데요.
해야돼 와 해야되 이 둘중에 어떤게 맞을까요?? 정답은 '해야돼'가 맞습니다. 되는 종결어미로 쓰일 수 없기 때문에 맨 마지막에 되라고 할수는 없습니다. 이해되시죠?
이러한 것도 조금 잘 이해가 안된다면 하와 해로 되 돼 구분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즉 , 되와 돼로 된 부분을 '하'나 '해'로 바꾸어서 발음을 해보는 것입니다. 앞서 말씀드린 예의 '해야돼'에 적용을 해본다면 '해야하' '해야해' 둘중에 무엇이 더 자연스러운가요? 당연히 '해야해'가 더욱 자연스럽죠? 즉 '해야돼'가 맞는 표현입니다.
되 돼 구분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. 어렵지 않죠? 좀도움이 되셨나요? 감사합니다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한전 전기요금 할인
- 제이비캐피탈
- 주휴수당이란?
- 웰컴저축은행 햇살론 자영업자
- 에이칠로 인성
- 버스전용차로 기준
- 연비 계산기
- 우체국 등기 수령
- 카카오 블랙 택시
- SBI대환대출
- 공사 소음신고
- 신호위반 벌금
- 속도위반 벌금
- 군대 재검신청
- 애플 비밀번호 찾기
- 롯데시네마 조조가격
- 영어 문장 번역기
- 표준체중 계산법
- 대구역 기차시간표
- 자동차 등록원부 조회
- 현대캐피탈 중도상환수수료
- 키보드 자판 배열
- 국민은행 무궁화대출
- 위도 배시간
- 한국전력공사 고객번호
- 카카오톡 아이디 만들기
- 격포여객터미널을 이용한 예매방법
- 네이버 띄어쓰기 검사기
- 병무청 재검신청
- 허리통증 잠자리자세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